R에서의 유용한 함수 정리
이번 글은 그동안 제가 R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한 함수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새로운 것들을 배울때마다 추가했기 때문에 중구난방으로 쓴 글이라는 점 이해 부탁드려요. 🙏
any(), all()
- `all()` : 모든 원소가 조건을 만족시 TRUE 반환
- `any()`: 모든 원소 중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시 TRUE 반환
apply 계열 함수
runif()
`runif`는 균등 분포(uniform distribution)에서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.
runif 함수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runif(n, min = 0, max = 1)
- n: 생성할 난수의 개수입니다.
- min: 생성될 난수의 최소값입니다. 기본값은 0입니다.
- max: 생성될 난수의 최대값입니다. 기본값은 1입니다.
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# 0부터 1까지의 구간에서 균등 분포된 난수를 5개 생성
runif(5)
# 1부터 10까지의 구간에서 균등 분포된 난수를 3개 생성
runif(3, 1, 10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