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글은 그동안 제가 R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헷갈렸던 부분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새로운 것들을 배울때마다 추가했기 때문에 중구난방으로 쓴 글이라는 점 이해 부탁드려요. 🙏
class() vs mode()
`class()`는 객체가 어떤 데이터 형식 또는 클래스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고,`mode()`는 객체의 내부 표현 방식을 나타냅니다.
데이터프레임 d의 클래스는 자신의 클래스인 data.frame을 출력합니다. 또한, 데이터 프레임 내부는 list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반응형